유체가 느리게 흐를 때는 층을 이루면서 잔잔히 흐르는 층류 유동을 보이고 ()
비교적 빠르게 흐를 떄는 뒤섞이며 불규칙한 난류 유동을 보인다. ()
그 사이 애매한 중간 단계를 천이 유동이라 한다. ()
결과적으로 층류와 난류를 구분하는 기준은 Reynolds수로 구분한다.
~ (관성력)/(점성력)
Re < 2100을 층류, Re > 4000을 난류라 한다.
(비뉴튼유체는 속도를 증가시키면 마찰이 줄어든다)
유체가 관에 입구를 지나 이동하면서 점성에 의해 속도분포가 형성된다.
벽 부분에서는 속도가 감소하고 중앙 부분에서 속도가 증가하여 연속방정식이 성립한다.
점차 경계층이 생기게 되며 이후 완전발달 속도분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까지의 이동거리를 입구길이 라 한다.
층류:
난류: or 25~50
입구길이는 Re에 비례하기에 유체가 빠를수록 입구길이가 길어진다.
완전발달유동 영역에서 속도분포는 축방향으로는 변하지 않고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대한 함수다.
하지만 압력은 축방향에 따라 변하고 일정하게 감소한다.
벽면에서의 전단응력은 로 구할 수 있고
전단응력이 압력차(정압)와 관의 직경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전단응력 분포는 로, 관경과 선형 관계이다.
속도분포는 뉴턴의 점성법칙 로부터 구할 수 있다.
벽면에서의 유체의 속도가 0이라면, 이다.
원관에서 완전발달 층류유동의 속도분포는 포물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완전발달 층류에 대한 속도분포를 통해 우선 유량과 평균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므로 로 정리되며 평균속도()x면적과 동일하다.
유량은 압력강하, 관의 길이, 점성계수에 반비례하며 관 직경의 4승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원관에서 완전발달 층류유동의 경우 평균속도는 최대속도(중심)의 절반이다.
역으로 압력강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식을 Hagen-Poiseuille식이라 한다.
뉴턴의 점성법칙으로부터 벽면에서의 전단응력을 속도분포를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난류 유동의 경우 속도성분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평균속도는 적분을 이용해 로 나타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속도분포는 멱법칙을 이용해 나타낸다.
(벽부근 전단응력에 대해 속도기울기가 무한대가 된다는 단점 존재)
n은 6~10의 값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Re에 따라 달라진다.
관 내부의 유동에서 수두손실이나 압력손실이 일어난다.
수두손실은 로 표현되며
이는 Darcy-Weisbach식으로 마찰에 의한 손실수두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
(Darcy) 마찰계수 f는 실험에 의해 구해지며 Moody차트를 이용해 대응하여 사용한다.
(난류에서 가 성립하고 k는 매끈한 정도이다.)
단, 압력강하를 나타내는 식은 오직 수평원관에서만 적용 가능하다.
경사진 원관에서 지름과 속도가 일정하다면 압력강하는 로 구할 수 있다.
Darcy 마찰계수와 달리 Fanning 마찰계수는 로 구할 수 있다.
(전단응력)/(동압)을 나타내며, Fanning 마찰계수는 Darcy 마찰계수의 1/4배이다.
층류에서 마찰계수는 Re만의 함수이지만
층류가 아니라면 상대거칠기()도 고려해야 한다.
상대거칠기가 0이라면 매끄러운 관을 의미한다.
관으로 이루어진 유동 시스템은 관 이음부품(밸브, 엘보, 티 등)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품을 지날 때 부차적 손실(<-> 주손실)이 생기게 된다.
부차적 손실수두는 손실계수를 이용하여 로 표현된다.
손실계수는 모양에 따라, 종류에 따라 이미 값이 정리되어 있다.
관 입구가 각지거나 둥글거나 돌출인 경우에 따라 부차적 손실이 생긴다.
이때 손실계수는 각각 0.5, 0.03~0.5, 0.8이다.
급확대관과 급축소관에서도 손실계수가 존재한다.
이고 여기서 이다.
이고 여기서 는 층류일 때이고 손실수두는 무시가능하다.
난류일 떄는 이다.
총손실수두는 관벽과 모든 부차적 손실수두의 합으로 이다.
손실계수는 같은 크기의 수두손실을 가지는 관의 상당길이로 치환 가능하다.
즉, 이므로 이다.
확대관에서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분리점이 생기고 난류가 형성된다.
유로 벽과 중심축 사이의 각도가 7도보다 작으면 확대손실을 줄일 수 있고,
35도 이상이면 와류가 형성되어 형태 마찰 손실이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확대 및 축소 장치 입구의 모양은
유로의 단면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원추형(트럼펫 모양)을 사용한다.
이때 축소계수는 면적비와 관계없이 0.05 정도로 낮출 수 있다.
'Physics > Fluid dyna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9. 물체 표면에서 유체의 점성유동 (1) | 2023.12.07 |
|---|---|
| 8. 압축성 유동과 음속 (1) | 2023.12.06 |
| 6. 베르누이 방정식 (1) | 2023.12.05 |
| 5. 운동량 수지 (0) | 2023.10.18 |
| 4. 유체 흐름 기본식 (0)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