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것들은 무질서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열역학 2법칙에 따르면, 고립계가 자발적 변화를 일으키면
그 과정에서 계의 엔트로피가 증가해야 한다.
엔트로피는 dS=dqrevT로 정의된다.
이때 열이 경로에 의존하므로 계의 엔트로피는 구하기 어렵다.
반면 주위의 엔트로피는 계의 열 변화를 그대로 수용하므로 경로에 무관하다.
ΔSsur=qsurT
여기서 등압이라면, qsur=−qp=−ΔH가 된다.
하지만 엔트로피는 상태함수다.
닫힌 경로 주위로 적분하면 0이 되며
이는 Carnot 순환으로 나타낼 수 있다.
∮dS= (등온 팽창) + (단열 팽창) + (등온 압축) + (단열 압축)
=qhotThot+0+qcoldTcold+0=0
이를 통해 열효율을 쉽게 나타낼 수 있다.
η=|w||qhot|=|qhot|−|qcold||qhot|=1−|qcold||qhot|=1−TcoldThot
즉, 가역 기관은 어떤 것이나 구조에 관계 없이
온도차에 대해 동일한 효율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가역보다 가역적 조건에서 더 많은 일이 행해진다.
−dwrev≥−dw이므로
dw−dwrev=dqrev−dq≥0이다.
이를 엔트로피로 표현하면 dSsys≥dqT=−dSsur이며 Clausius 부등식이라 한다.
이를 통해 dStot=dSsys+dSsur≥0임이 증명된다.
추가적으로 dS≥dqhotThot+dqcoldTcold=(1Tcold−1Thot)dqcold로 나타낼 수 있다.
엔트로피는 단순히 구하기 어렵고 주위의 엔트로피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까다롭다.
따라서 계에만 집중하기 위해 2가지 식을 정의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Clausius 부등식에서 시작한다.
등적과정의 경우 dqV=dU이므로 dA=dU−TdS≤0이 된다.
이를 Helmholtz 에너지라 부른다.
여기서 자발적 변화는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이 아닌
높은 엔트로피가 되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또, A는 일정 온도의 가역 과정에서 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대 일과 같다.
dU=dq+dw≤TdS+dw이며
dwmax=dA=dU−TdS이기 때문이다.
등압과정의 경우 dqp=dH이며 dG=dH−TdS≤0이 된다.
이를 Gibbs 에너지라 부른다.
Gibbs 에너지는 Helmholtz 에너지와 비슷하게 일정 온도, 압력의 가역 과정에서 최대 비팽창 일과 같다.
열역학 1법칙: dU=dq=dw, (가역일 땐 dwrev=−pdV)
열역학 2법칙: dqrev=Tds
이 둘을 합치면 dU=TdS−pdV라는 기본식을 얻을 수 있다.
이 식은 비팽창일이 없는 닫힌계의 모든 변화를 수반한다.
이를 통해 H, A, G에 대한 미분식을 유도할 수 있다.
G = H - TS = (U + pV) - TS이므로
dG=Vdp−SdT가 유도된다.
잠시 내부 에너지를 살펴보면 U(S,V)이다.
여기서 (∂U∂V)T=πT로 내부적 압력을 의미한다.
즉, (∂U∂V)T=(∂U∂S)V(∂S∂V)T+(∂U∂V)S 이므로
πT=T(∂S∂V)T−p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van der Waals 상태식을 도입하면
πT=nRTV−nb−p=an2V2임을 다시 확인 할 수 있다.
즉, 등온 팽창 시 내부에너지가 증가하며 분자 인력이 작다면 전체 에너지가 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기체에 대해서 πT=p−p=0이다.
G(p, T)는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다.
먼저 온도에 대해서 살펴보면 등압이라 가정하고,
(∂G∂T)p=−S=G−HT이다.
이를 이용해 (∂G/T∂T)p=−HT2라는 Gibbs-Helmholtz 식이 나온다.
이는 물리적 상태의 변화나 화학 반응에 대하여 엔탈피 변화를 통해 온도에 따른 Gibbs 에너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압력에 대해서는 간단하다.
등온이라 가정하면, Gm(pf)=Gm(pi)+∫pfpiVmdp이다.
고체나 일부 액체의 경우 압력에 따른 부피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쉽게 구할 수 있다.
반면, 기체의 경우 부피가 압력에 크게 변한다.
이상기체라 가정하면, ΔG=RTln(pfpi)으로 나타낼 수 있다.
'Chemistry > Physical Chemi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2성분 계의 상평형(F=4-P) (1) | 2023.06.04 |
---|---|
5. 혼합의 열역학 (0) | 2023.06.03 |
4. 단일성분 상전이(F=3-P) (0) | 2023.06.03 |
2. 에너지를 도입하니 '열'이 말썽이다. (0) | 2023.04.11 |
1. 기체의 물리적 해석 (0)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