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성 고체는 결합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metal, alloy
- ionic solid
- covalent bonding
- intermediate ionic-covalent (CdS, TiO2, ZnS, ...)
- Molecular Solid (Benzene)
이러한 결정 구조는 3차원 공간에 원자단이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을 격자(lattice)로 간단히 표현 가능하며, 원자단(basis)은 lattice point로 치환한다.
해당 구조 단위는 단위 세포(unit cell)로 대표할 수 있다.
7가지 crystal system이 있고, 14가지 Bravais lattice가 존재한다.

primitive cell은 unit cell당 원자가 1개인 단위 세포이다.
cubic, tetragonal, hexagonal, trigonal은 high symmetry에 속한다.
결정에 대해 단위 세포를 결정할 때에, lattice를 잘 맞추고 최대한 high symmetry이면서 사이즈가 최소인 cell을 고른다.
close-packed system은 조밀쌓임 구조로 최대의 밀도를 갖는다.
HCP는 ABAB..., CCP/FCC는 ABCABC...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밀쌓임 구조에서 hole은 4면체자리 혹은 6면체자리로 나뉜다.
이는 이온결합화합물에서 중요하며, 양이온/음이온 반지름 비에 따라 crystal structure가 예측된다.
r+/r- | 구조 | 배위수 |
Linear | < 4 | |
0.225 | ||
Tetrahedral | = 4 | |
0.414 | ||
Octahedral | = 6 | |
0.732 | ||
Cubic | = 8 |
이온결합화합물의 경우 일부 unit cell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새로운 이름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이 커서 그걸로 먼저 격자를 만들고 양이온을 채우는 식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어 ZnS는 CCP(FCC) 구조의 음이온과 1/2 Td site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다.
Simple Cubic (SC)
단일 원소의 경우 Po(폴로늄)만 이 구조를 만족한다.
배위수 = 6, 격자 내 총 원자수 = 1, a=2R
원자충진율(APF) = 1×43π(0.5a)3a3 = 0.52
Body Centered Cubic (BCC)
원자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배위수 = 8, 격자 내 총 원자수 = 2, 4R=√3a
원자충진율(APF) = 2×43π(√3a/4)3a3 = 0.68
Face Centered Cubic (FCC)
한 면에 대해 원자들이 서로 닿아 있다.
배위수 = 12, 격자 내 총 원자수 = 4, 4R=√2a
원자충진율(APF) = 4×43π(√2a/4)3a3 = 0.74
ABCABC···구조이다.
Hexagonal Close-Packed (HCP)
ABAB··· 구조이다.
배위수 = 12, 격자 내 총 원자수 = 6
높이(c)밑변(a)=1.633, APF = VsVc=6×43πR33a2c√32 = 0.74
Born-Haber Cycle과 Hess's law를 이용하면 이온 결정 형성의 열역학을 알 수 있다.
금속에 대해서는 우선 승화(S) 후 이온(I)이 된 상태에서 진행되고
음이온의 경우 해리(1/2D) 후 전자친화도(EA)를 통해 이온이 된다.
이후 결합을 형성하여 격자 에너지(U)가 얻어진다.
ΔHf=S+1/2D+I+EA+U
반면, 이온결합 에너지는 쿨롱 법칙을 통해 유도됐었다.
격자에 대해서는 각 배위에 대하여 거리가 일정하므로 급수합으로 표현 가능하고
최종적으로 Madelung 상수 A(구조마다 다른 값)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C=−NAAε24πεor
'Chemistry > InOrgan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배위 화합물과 배위수 (2) | 2023.12.02 |
---|---|
5. 산-염기 이론과 산화물 (0) | 2023.12.01 |
4. 분자 오비탈 (0) | 2023.12.01 |
3. 대칭과 군론 (1) | 2023.10.09 |
2. 분자의 실질적 구조에 관하여 (1)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