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열이란, 상변화 시 열이 온도의 변화가 아닌 상태의 변화로 모두 이용되는 경우이고
헌열이란, 이와 반대되는 열 전달로 인한 온도 변화 현상을 말한다.
헌열에 대하여
dU=CVdT+(∂U∂V)TdV, dH=CPdT+(∂H∂P)TdP였다.
일정 부피이며 내부에너지가 부피에 무관하면 Q=ΔU=∫T2T1CVdT이고
일정 압력이며 엔탈피가 압력에 무관하면 Q=ΔH=∫T2T1CPdT이다.
여기서 열용량은 온도에 의존한다.
CP/R=A+BT+CT2+DT−2, CigV/R=CigP/R−1
일반적으로 화학종의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열용량이 증가한다.
각 분자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상 혼합물에 대해서
기체 혼합물의 이상기체 열용량은 각 개별 성분의 열용량 몰평균으로 구한다.
CigP,mix=yACigPA+yBCigPB
열용량 값을 실제로 대입하여 풀면 복잡하기 때문에 정의된 함수를 이용한다.
∫TT0CPRdT=ICPH(T0,T;A,B,C,D)
<CP>HR=MCPH(T0,T;A,B,C,D)
잠열에 대하여
우선 상태 변화 시 두 개의 상이 공존하므로 F = 2 - pi + N = 2 - 2 + 1 = 1이다.
다음의 Clapeyron 식이 성립한다.
ΔH=TΔVdPsatdT
표준 반응열 (ΔH=Q)
표준 반응열이란, 특정 온도에서 표준상태의 반응물이 반응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표준 상태의 생성물을 만들었을 때의 엔탈피 변화값을 말한다. 표준상태에서 물성값은 온도만의 함수다.
엔탈피는 상태함수이기 때문에 표준생성열을 이용하면 표준반응열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때 화학반응에는 양론계수가 있기 때문에 이를 참고하여 계산한다.
만약 화학반응이 표준생성렬에서의 온도에서 일어나는 게 아니라면 온도변화에 해당하는 엔탈피를 더해준다.
ΔHo=ΔHo0+∫TT0ΔCoPdT
여기서 열용량 값을 계산하는 것은 역시 어렵기에 정의된 함수를 이용한다.
∫TT0ΔCoPdT=IDCPH(T0,T;DA,DB,DC,DD)
<CoP>HR=MDCPH(T0,T;DA,DB,DC,DD)
'Physics > Thermodyna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공정을 위한 G, H, S 구하기 (3) | 2023.12.04 |
---|---|
5. 카르노 기관과 엔트로피 (2) | 2023.12.04 |
3. 엔탈피와 내부에너지를 구하는 방법 (0) | 2023.10.30 |
2. 열역학 제 1법칙 (0) | 2023.10.29 |
1. 열역학 기초 (1)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