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한국조선해양은 수소연료전지 추진선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내연기관을 대체해 에너지 효율이 더 높으며 친환경인 수소를 동력으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전기 추진 선박의 출력을 제어하는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미국의 경우 자동화 설비 도입에 반대하는 파업이 예고됐다.
자동화 도입으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 노조는 꽤 많은 근로자가 가입했기에 파업 규모에 따라 배송이 지연되거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이 심각하게 교란될 수 있다고 한다.
독일 자동차 회사 폭스바겐이 독일 공장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
세계 2위 자동차 회사인만틈 이번 폐쇄 소식은 충격적이다.
전기차의 등장과 중국의 저가 공세로 내연기관의 수요가 많이 감소했다.
이와 더불어 현재 러우전쟁으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대란도 큰 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탄자니아 마헨게 광산 개발에 참여해 28년부터 25년간 천연 흑연을 공급받는다.
이를 통해 매년 전기차 126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흑연을 확보할 전망이라고 한다.
포스코퓨처엠이 국내 유일 2차전지용 양극재와 음극재를 모두 생산하는 만큼
포스코그룹 내의 시너지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기대해볼 수 있겠다.
또한 흑연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 성과는 탈중국 공급망 확보에 큰 힘이 된다.
기초생활보장수급을 신청한 저소득층의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가족 간 부양의 개념이 희미해지곡 1인 노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사실 제도적으로 기초생활보장수급을 받는게 혜택 측면에서 유리하다.
노인 부양자로 하여금 시간이 지날수록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제도적으로 노인 복지에는 문제가 크다.
65세 이상 연령층의 수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10년만 지나도 복지를 받는 사람이 기금을 내는 사람보다 많아진다.
저출산 고령화 국가에서 복지를 내세우면 복지국가보다 빠르게 경제수준이 하락한다.
단기적인 문제해결이 아닌 장기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외활동 > 경제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9.06] 이제 2차전지 안하는 화학 산업이 있을까 (0) | 2024.09.06 |
---|---|
[24.09.05] 국민연금 개혁안 결국 제자리 (1) | 2024.09.05 |
[24.09.03] 예견된 상황, 이제는 얼마나 잘 받아들이나 (5) | 2024.09.03 |
[24.09.02] 정책이 못하니 은행이 나서네 (7) | 2024.09.02 |
[24.08.05] 그레이트 리셋 준비하세요 (1) | 2024.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