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삼성sdi 10

[25.02.26] 휴머노이드 시장의 핵심, 배터리

삼성SDI와 현대자동차가 휴머노이드 로봇에 들어갈 고성능 배터리를 공동 개발한다.현대 휴머노이드 배터리는 용량한계로 인해 1~2시간 밖에 사용할 수 없다.따라서 양사는 충전 및 방전 성능, 사용시간, 수명 평가 등을 함께 진행한다.한편 테슬라는 LG에너지솔루션과 2026년 휴머노이드 양산을 계획하고 있다.이번 인터배터리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에너지밀도가 높은 4680 배터리를 공개할 예정이고내년 2세대 옵티머스에 장착해 휴머노이드 전용 배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현재 보스턴다이나믹스의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의 배터리 용량은 3700Wh로걷기만 해도 4시간 이상 구동할 수 있지만 AI 작업이나 노동의 경우 1시간도 사용할 수 없다.따라서 휴머노이드를 일꾼으로 사용하려면 시간당 2000~3000Wh의 에너지가..

[24.09.10] 불황을 이기는 것은 시간과 돈의 투입뿐

삼성SDI가 국내 최초로 건식공정 파일럿 라인 시험 생산을 시작했다.기존 2차전지 공정은 습식공정으로 많은 부지를 사용하며 전기료 등 상당한 고정비를 필요로 하지만 건식공정의 경우 설비투자비를 최대 30% 줄이는 기술로 원가절감에 큰 도움이 된다.하지만 아직까지 수율과 부차적인 문제로 도입이 어려웠지만 국내 전지사가 하나둘 해결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특히 향후 전고체 배터리 생산을 위해서는 건식 공정이 필수적이다. 삼성SDI "건식공정 파일럿 라인 가동 시작"전기자동차 배터리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은 우려를 넘어 현실이 됐다. 관련 업계는 이제 ‘어떻게 빠르게 극복해 내느냐’를 최대 과제로 삼고 있다. 한국 전기차 회사와 배터리 회사들은 제n.news.naver.comSK E&S가 싱가포르의 조선소..

[24.07.05] 삼성SDI, 역대 최대 ESS 배터리 공급

삼성SDI가 미국 전력기업인 에 ESS용 배터리를 대규모 납품한다.북미 전체 ESS용량의 11.5%에 해당하는 규모이며 1조원에 달한다.값비싼 NCA 배터리 셀을 적용한 삼성배터리박스로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신재생에너지 설비 증설로 인해 ESS의 수요가 늘어 앞으로도 전망이 밝다.아직 중국의 LFP 저가 공세가 점유율을 많이 차지하지만앞으로는 성능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어 프리미엄 전략이 먹힐 것이다.ESS는 전기차와 달리 무게나 가격보다 에너지밀도가 월등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단독] 삼성SDI '1조 잭팟'…中이 장악한 시장서 대반격삼성SDI가 미국 최대 전력기업인 넥스트에라에너지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대규모로 납품한다. 총용량 6.3기가와트시(GWh)로 지난해 북미 전체 E..

[24.03.12] 국내 이차전지 전략을 살펴보자

전고체로 앞서고 LFP는 추격하는 '투트랙' 전략이다. 차세대 배터리 개발로 격차를 확보하고, 저가 보급형 배터리 생산을 늘려 중국과 경쟁하는 방식이다. 차세대 배터리는 전고체·리튬황·리튬메탈 등이 있고 이전부터 예견되었던 건 전고체 배터리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것으로, 화재가 날 일이 없고 구조적으로 단단해져 훼손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폭발 위험성도 비교적 낮다. 또한, 음극재 중 용량이 가장 큰 리튬 금속을 사용하 수 있어 내연기관 수준까지 주행거리를 높일 수 있다. SK온은 대전 배터리연구원에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다. LG엔솔은 2030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현재 4680 원통형 배터리 개발에 집중했다. 삼성SDI는 지난해 바일럿 라인을 구..

[24.03.06] 네이버, 로봇 운영체제 만들다

LG전자, 인도 B2B 시장 공략 나섰다. LG전자는 미국 LA, 시카고, 애틀랜타, 뉴저지 4곳에서만 BIC(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센터)를 운영했다. 이번엔 인도에 노이다, 뭄바이, 벵갈루루에 이어 젠나이에 4번째로 BIC를 새로 건설했다. 생활가전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잡은 LG전자는 모빌리티 및 에듀테크 B2B 사업을 집중 공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인도에 R&D센터를 신설하고 현대자동차가 GM 인도법인의 탈레가온공장을 인수하는 등 다양한 기업들이 인도를 기회의 땅으로 인식하여 투자하고 있다. 인도 공들이는 LG전자 "혁신센터 늘려 전방위 공략" 지역거점 4곳으로 확충 첸나이에 영업거점 만들어 병원·학교 등 B2B 맞춤체험 매출비중 2배 늘려 25% 목표 R&D부터 생산·판매까지 현지완결형..

[23.10.24] 삼성SDI, 현대차에 배터리 공급한다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에 반제품조립(CKD) 공장을 짓는다. 2024년 공장을 착공해 2026년 상반기부터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다. CKD 공장은 부품 형태로 수출하여 현지에서 완성차를 조립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관세를 낮추고 초기 현지 투자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한다. 전기차와 내연기관 등 다양한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고, 추가로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현대차, 사우디에 친환경차 생태계 구축 현지기업과 다자간 MOU 수소버스 판매·충전소 건설 사우디 국부펀드와 합작투자 '연간 5만대' 조립공장 설립 6770억 투입 … 전기차도 양산 현대자동차가 처음으로 중동에 공장을 짓기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와 n.news.naver.com 삼성 SDI가 현대차와 7년간 유럽향 전기차에 배..

[23.08.17] 우리나라도 스마트팩토리 도입중

SK온이 공장 증설로 국내 배터리 생산을 4배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2025년까지 충남 서산에 3번째 배터리 공장을 지을 예정이다. 현대자동차가 울산에 새로 짓는 전기차 공장에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번 충남공장은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는데, 국내 공장을 '마더 팩토리'로 키우기 위해서다. 미국, 유럽 등 해외 신설 공장을 빠르게 안정화하기 위해 노하우를 쌓는 시설로 삼는다는 것이다. 제3 공장에는 최신 설비를 도입해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할 것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생산 속도를 기존 라인보다 30% 이상 단축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 오창에너지플랜트의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고, 삼성SDI는 울산공장에 중대형 배터리를 생산중, 천안공장 등에 라인을 증설할 계획이다. SK온 서산 배터리공장 ..

[23.07.25] 2차전지주 어디까지 오르는 걸까

포스코그룹 계열사의 시가총액이 5년 새 35조원에서 115조원으로 급증했다. 포스코그룹은 수소환원제철소를 구축하여 친환경 철강 생산을 구축하고 있고 2차전지 소재 사업을 양대 축으로 미래 전략을 삼고 있다. 철강산업을 주력으로 2차전지 소재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했고 발 빠르게 탈중국 공급망을 구축해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리튬을 추출하고 국내 클러스터에서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철강산업 분야에서 수익성이 회복되고 있고 2차전지 소재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미래 전략이 긍정적으로 평가된 것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현재 2차전지 및 전기차 관련주가 상당히 과열된 상태이다. 2차전지 품은 철강 포스코 시총 100조 그룹 6개사 주가 동반급등 포스코홀딩스 시총 4위로 현대차·삼성바이오도 추월 ◆ 포스코그룹..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