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Chemistry/Reaction Engineering

3. 반응속도

hyuckee 2025. 1. 1. 22:31
반응형

aA+bB->cC+dD라는 반응이 있을 때 상대속도는 rAa=rBb=+rCc=+rDd이다.
반응속도식은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고, 기초반응의 경우 power law model이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반응이 기초반응이라면, rA=kCaACbB이고, a+b차 반응이다.
대부분의 반응속도식은 https://kinetics.nist.gov/kinetics/index.jsp에서 확인 가능하다.

기초반응이 아니라면 속도식이 분수꼴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heterogeneous rxn의 경우가 그렇다.

가역반응이라면 평형상수는 KC=CcCeCdDeCaAeCbBe=kAkA이다.
또한 속도는 rB=rB,forward+rB,reverse처럼 정반응과 역반응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rB=kB(CaACbBCcCCdDKC)이다.

Le Chatelier's Principle에 따라 모든 반응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을 선호하므로
정반응이 발열반응이라면 온도가 높아질수록 평형상수는 낮아진다.
특정 온도에서의 평형상수는 KC(T)=KC(T1)exp[ΔHoRxR(1T11T)]로 계산할 수 있다.

속도상수 kA(T)=eEaRT는 온도에 크게 좌우되며
촉매 유무, 전체 압력, 이온세기, 용매 종류 등에 일부 영향을 받는다.


그렇다면 반응속도식은 어떻게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는가?
대부분의 속도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변인을 통제하고 간소화하여 접근한다.
2가지 이상의 반응물이 있다면 한 종류에 의존하도록 과량투입하여 농도를 상수취급한다.
power law 모델을 따른다는 가정하에 임의의 반응차수로 식을 세운다.

Integral Method를 사용하면
0차 반응이라면 CA=CA0kt, 1차라면 lnCA0CA=kt, 2차라면 1CA1CA0=kt가 나오고
실험데이터 plot을 통해 반응차수를 유추할 수 있다.

Differential Method는 반응차수를 아는 상황에서
ln(dCAdt)=lnkA+αlnCA를 plot해 속도상수를 구한다.
여기서 (dCA/dt)p는 도식법, 수치해석법 등을 활용해 plot할 수 있다.

만약 속도식이 ln(rA0)=lnk+αlnCA0+βlnCB0처럼 선형식이라면
Least-Square Analysis 같은 선형회귀를 통해 구할 수 있다.

반면 CA=[C1αA0(1α)kt]1/(1α)같은 식이라면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반응속도식을 구할 수 있다.

728x90

'Chemistry > Reaction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압력강하  (0) 2025.01.01
5. 공간시간과 공간속도  (0) 2025.01.01
4. Stoichiometry  (0) 2025.01.01
2. 전화율과 설계방정식  (0) 2025.01.01
1. mole balance  (0)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