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대외활동/경제신문 스크랩

[25.02.03] 중소기업은 폐업하고, 스타트업은 탈출하고, 대기업은 구조조정

hyuckee 2025. 2. 3. 09:11
반응형

트럼프가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25%,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는 10%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캐나다는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마약과 중국의 시장파괴 때문이다.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해 미국으로 불법 이민자와 펜타닐 등의 마약이 퍼지고 있으며
현재 미국과 중국은 피상적으로 기술 전쟁을 치르고 있다.

 

트럼프가 때리자…加·멕시코, 보복관세 맞불

막 오른 글로벌 관세전쟁 트럼프 "미국인 보호하는게 의무"… 4일부터 부과 BBC "멕시코 공장 많은 삼성·혼다 등 亞기업 타격" ◆ 트럼프發 무역전쟁 ◆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트럼프발 '관

n.news.naver.com

 

 

관세전쟁 방아쇠 당긴 트럼프 다음 타깃은 반도체·철강·알루미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관세 부과 파장 상대 국가에서 관세 대응땐 세율 더 올리는 추가 보복도 美 인플레 불똥 막기 위해 캐나다원유엔 관세 10%만 펜타닐 명분 내세운 트럼프 "적절한 조치

n.news.naver.com

 

 

中보다 동맹 더 세게 때린 트럼프…'관세-보복관세-재보복' 악순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은 나란히 보복 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

n.news.naver.com


국내 시장의 고질적 규제, 투자 부진, 인재 유출, 조세 부담 등으로
해외로 진출하는 스타트업이 10년 새 6배나 늘었다고 한다.
국내와 달리 해외에서는 불합리한 규제도 덜하고
기업가치도 정상적으로 평가되어 투자도 원활하기 때문이다.

 

韓서 짐싼 스타트업 10년새 6배 늘었다

해외로 본사 옮기는 기업 급증 규제 많고 투자·인재는 부족 한국 창업생태계 사실상 붕괴 ◆ 기업도 투자도 脫한국 ◆ 서울 테헤란로에 있던 핀테크 스타트업 A사는 금융규제 탓에 사업 확장이

n.news.naver.com

 

 

투자 못받고 인재도 못구해 … 스타트업 186곳 'BYE코리아'

국내 벤처투자 쪼그라들어 2021년 18조원서 작년 6조 63% "규제 탓 사업 힘들다" AI규제 입법만 8개월새 64건 규제 샌드박스도 유명무실 첨단기술 인재 해외로 유출 美 스타트업 稅혜택 주는데 한국

n.news.naver.com


한화와 LG가 태양광발전, ESS, EMS, 전기차 충전 등의 통합 전기발전사업을 준비한다.
두 회사의 역량을 묶어 패키지로 판매해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AI 붐에 따라 전력 수요 증가로 미국에서 발전과 저장 시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화의 태양광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LG엔솔의 ESS로 저장하며
EMS를 통해 에너지를 관리하고
한화의 충전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청사진이다.

 

한화·LG, 에너지 동맹…"테슬라 잡자"

한화그룹과 LG그룹이 태양광발전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 소프트웨어(EMS), 전기차 충전에 이르는 ‘통합 전기 발전사업’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국내외 발전회사 및

n.news.naver.com

 

 

태양광 패키지 이어 배터리 공장도 함께…한화·LG "UAM도 협력"

한화그룹과 LG그룹이 태양광발전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 소프트웨어(EMS), 전기차 충전에 이르는 ‘통합 전기 발전사업’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국내외 발전회사 및

n.news.naver.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