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주일 사이 중국에서 현재까지 3명의 흑사병 환자가 발생했다.
처음엔 여성 1명이었지만, 이어 남편과 딸까지 확진되었다.
당시에도 적시에 격리 및 통제됐다고 발표했지만
역시나 전염이 멈추지 않았다.
흑사병은 야생 설치류의 체액 또는 혈액과 접촉하거나
환자의 비말을 통해 전염되고, 치료하지 않으면 24시간 안에 사망할 수 있다.
증상은 빠르게 중증으로 나타나기에 빠른 조치가 필수적이다.
반도체는 모바일 기기나 차량 등에도 필요하지만, 클라우드기업들의 서버용 CPU에도 많이 필요하다.
서버용 CPU의 수요가 증가하면, 같이 장착하는 D램 수요도 같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AMD는 인텔이 장악하던 서버용 CPU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고 한다.
AMD의 저전력 칩은 전력 효율이 높아 전력 소모량이 높은 데이터센터가 주 고객사다.
중동은 원유 수입으로 구축한 자본을 토대로 탈석유와 산업 다각화를 추진중이라고 한다.
특히 자체 AI 모델을 개발에 심여를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반도체를 대량 매입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생성 AI 구축과 훈련을 위한 LLM을 구동하기 위한 GPU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중국 4대 빅테크도 미국 수출 규제를 대비하여 패닉바잉처럼 엔비디아 반도체를 주문했다.
현대제철이 중국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현지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로 베이징법인에 이어 충칭법인을 매각했다.
현대제철은 2000년대 초반 현대, 기아차의 중국 판매량이 늘어나 중국에 법인을 세우며 진출했다.
하지만 2017년 한국의 사드에 대한 보복조치로 신차 판매량이 급감하여 적자가 계속 불어났다.
더불어 중국 제철사의 가격 경쟁력에 저가 강판 공급이 늘어 실적이 악화되었다.
문제는 베이징, 충칭 이외의 법인도 모두 적자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모두 정리 대상에 오를 수도 있다.
이에 현대제철은 계열사에 공급하는 물량에만 의존하지 않고,
그룹사 외에 외부 판매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네이버가 투자하는 스타트업은 97%가 생존한다.
국내 전체 생존율은 29.2% 수준인데 말이다.
심지어 기업가치도 2년만에 3배 가량 증가했다.
D2SF는 네이버의 기업 주도형 벤처캐피털(CVC)로
네이버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하여 생태계를 조성한다.
지난 8년 동안 인공지능, 콘텐츠,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 102곳에 투자했다고 한다.
이중 대부분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시장을 검증하는 단계의 초기 스타트업, 시드 단계 투자다.
투자 검토 단계부터 네이버와 접점을 찾아 내부 임직원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내부 주요 조직과 협업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별점이라 한다.
'대외활동 > 경제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8.22] AI용 D램 HBM, 그 승자는? (0) | 2023.08.22 |
---|---|
[23.08.17] 우리나라도 스마트팩토리 도입중 (0) | 2023.08.17 |
[23.08.14] 공장은 로봇과 함께 / SMR의 밝은 미래 (0) | 2023.08.14 |
[23.08.10] 현대모비스 끝내 폭스바겐과 손잡다 (0) | 2023.08.10 |
[23.08.09] 중국 디플레이션 극복 가능한가 (1)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