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dsr 3

[24.09.02] 정책이 못하니 은행이 나서네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시작됐다.우리은행의 경우 1주택자 이상에 대해 주담대와 일반 전세자금대출을 내주지 않기로 했다.가계대출 증가폭이 너무 가파르고, 공급 목표량을 이미 초과했기 때문이다.신한은행도 최장 만기를 줄이며, 국민은행도 범위를 감소시킬 예정이다.은행권에서 대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부동산의 정상화를 조금이나마 기대할 수 있겠다.대출을 갚기 위해 전세 물량은 감소하고, 매도는 증가하여 다시 가격이 역전될 가능성도 있다. 집 있으면 수도권 '영끌' 힘들어져 …"투기자 취급 억울" 불만 속출우리銀 1주택자 주담대 중단 9일부터 대출 조이기 초강수 최장 만기 40년→30년 단축 무주택자만 전세대출 가능 실수요자 시중銀 돈줄 막히자 전세난 등 주거불안 심화 우려 8월..

[23.07.18] 한국 경제 위태롭다 / 식량 위기 시작되나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5%로 주요 43개국 중 3위라고 한다. 가계부문 총 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14.3%로 주요 17개국 중 2위라고 한다. 가계부채는 2020년 103%로 GDP 규모 초과를 시작했고 주요 선진국은 부채를 축소했지만 한국은 축소하지 못했다. 한국은행에서는 부동산, 주식 투자 급증을 가계부채가 늘어난 원인으로 삼았다. 가계대출은 늘었는데 가계소비가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최근 집값이 다시 살아나고 있고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계부채도 오르는 추세라고 한다. 빚내서 투자하는 사람이 늘었고, 그에 따라 상환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대출을 대출로 막는 정책만 내고 있다. 심지어 원금을 감면해준다는 정책도 있다. 대..

[23.03.24] 베이비 스텝 / 금융부채 비중이 심상치 않다

미국 연준은 베이비 스텝을 단행했다. SVB 파산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이 빅스텝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 오로지 물가만 생각하는 연준은 긴축 기조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한다. 다행인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금리를 동결하거나 베이비스텝을 위주로 진행하지 않을까싶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해서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1.5%p로 벌어졌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늘 환율도 올랐는데, 이번에는 30원 가까이 하락했다. 아마 미국과 유럽에서 한바탕 은행 위기로 인해 시장이 불안해서 그런게 아닐까싶다. 그래서 만약 향후 경제지표가 지속적으로 좋게 나온다면, 급격한 외화 유출로 인한 환율 상승이 있을 수도 있겠다. 美연준 일단 물가안정 택했지만…'5월 긴축종료' 깜빡이 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