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CSTR 3

5. 공간시간과 공간속도

관형 반응기의 경우 흐름에 따라 반응량이 달라진다.따라서 특별히 공간시간(τ=Vv0τ=Vv0)과 공간속도(SV=1τSV=1τ)를 정의한다.Batch > CSTR > Tubular 순으로 반응 시간이 소요된다. CSTR에서 τ=CA0X(rA)exitτ=CA0X(rA)exit으로 정리할 수 있고1차 비가역 반응에 대해 X=τk1+τkX=τk1+τk가 되며 CA=CA01+τKCA=CA01+τK이다.이때 τkτk는 Damköhler number (Da)라 정의한다.2차 비가역 반응은 X=(1+2Da)1+4Da2DaX=(1+2Da)1+4Da2Da로 유도된다. (Da=τkCA0Da=τkCA0)비가역 반응에 대..

2. 전화율과 설계방정식

전화율은 투입한 한계반응물 대비 반응한 한계반응물의 비율이다.비가역 반응의 경우 최대값이 1, 가역반응은 최대값은 평형에서의 값이 된다.NA=NA0(1X)NA=NA0(1X), FA=FA0(1X)FA=FA0(1X)로 나타낼 수 있고 설계방정식을 작성할 수 있다.몰농도를 이용해 CVCV 혹은 CvCv로 표현할 수 있고, 기체의 경우 C=yPRTC=yPRT로 치환할 수 있다. Batch ReactorCSTRPFRPBRDesign Equation(미분형)NA0dXdt=rAVNA0dXdt=rAVV=FA0XrAV=FA0XrAFA0dXdV=rAFA0dXdV=rAFA0dXdW=rAFA0dXdW=rADesign Equation(적분형)$t=N_{A0}\in..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