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Stoichiometry 한 가지 반응만 일어난다면 한계반응물의 전화율로 전부 표현 가능하다.이때 δ=da+ca−ba−aaδ=da+ca−ba−aa를 정의해 NT=NT0+δNA0XNT=NT0+δNA0X로 표현한다.몰유량도 마찬가지이며, 부피 혹은 부피유량이 일정한 경우 나누어 몰농도로 표현 가능하다.Θi=Ni0NA0=Ci0CA0=yi0yA0Θi=Ni0NA0=Ci0CA0=yi0yA0를 이용하여 간단히 한다.단, 고분자 중합의 경우 일반적으로 밀도가 변하므로 반응 부피가 일정하지 않다.부피유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v=v_{0}\Big(\frac{F_{T}}{F_{T0}}\Big)\Big(\frac{P_{0}}.. Chemistry/Reaction Engineering 2025.01.01
2. 전화율과 설계방정식 전화율은 투입한 한계반응물 대비 반응한 한계반응물의 비율이다.비가역 반응의 경우 최대값이 1, 가역반응은 최대값은 평형에서의 값이 된다.NA=NA0(1−X)NA=NA0(1−X), FA=FA0(1−X)FA=FA0(1−X)로 나타낼 수 있고 설계방정식을 작성할 수 있다.몰농도를 이용해 CVCV 혹은 CvCv로 표현할 수 있고, 기체의 경우 C=yPRTC=yPRT로 치환할 수 있다. Batch ReactorCSTRPFRPBRDesign Equation(미분형)NA0dXdt=−rAVNA0dXdt=−rAVV=FA0X−rAV=FA0X−rAFA0dXdV=−rAFA0dXdV=−rAFA0dXdW=−rAFA0dXdW=−rADesign Equation(적분형)$t=N_{A0}\in.. Chemistry/Reaction Engineering 2025.01.01
2. 물질수지와 화학반응 물질수지란, 계에 대하여 유입, 유출, 잔여 물질의 양을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물질이 자연발생, 소멸하지 않는다면 넣은 만큼 존재한다는 걸 이용한다. 즉, 연립방정식을 풀게 된다. 따라서 문제를 풀 때 다음과 같은 규칙을 두면 편리하다. 1. 문제 상황을 시각화한다. 2. 정보를 기호화해서 표현한다. (기체의 몰분율은 y로, 액체의 몰분율은 x로 표기한다.) 3. basis를 정해서 계산하기 편하게 만든다. 4. 세울 수 있는 (선형)식들을 적어본다. 반응이 없는 경우, 물질에 변화가 없으므로 단순 계산으로 볼 수 있다. 화학반응이 있다면 Feed와 Product, Waste 등이 서로 다르다. (원소 하나하나에 대해서는 반응이 없는 물질 수지와 같이 계산 가능하다.) 화학 반응은 계수비로 반응.. Math/Stoichiometry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