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속도상수 2

3. 반응속도

aA+bB->cC+dD라는 반응이 있을 때 상대속도는 rAa=rBb=+rCc=+rDd이다.반응속도식은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고, 기초반응의 경우 power law model이 적용가능하다.따라서 위의 반응이 기초반응이라면, rA=kCAaCBb이고, a+b차 반응이다.대부분의 반응속도식은 https://kinetics.nist.gov/kinetics/index.jsp에서 확인 가능하다.기초반응이 아니라면 속도식이 분수꼴로 나타날 수 있다.특히 heterogeneous rxn의 경우가 그렇다.가역반응이라면 평형상수는 $K_{C}=\frac{C_{Ce}^{c}C_{De}^{d}}{C_..

9. 화학 반응 속도에 관하여

반응 속도는 온도에 영향을 받기에 일반적으로 등온을 가정한다. 반응계의 부피가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A + 2B → 3C + D에 대하여 d[A]dt=12d[B]dt=13d[C]dt=d[D]dt이다. 반응속도는 반응진척도를 통해 유도가 가능하다. ξ=nJnJ,0νJ 따라서 νJdξ=dnJ이므로 반응속도는 v=1Vdξdt=1νjd[J]dt가 된다. 이는 일정 부피계에서 일어나는 균일 반응에서 성립한다.불균일 반응의 경우 부피 대신 표면적..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