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화학 반응 속도에 관하여 반응 속도는 온도에 영향을 받기에 일반적으로 등온을 가정한다. 반응계의 부피가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A + 2B → 3C + D에 대하여 −d[A]dt=−12d[B]dt=13d[C]dt=d[D]dt−d[A]dt=−12d[B]dt=13d[C]dt=d[D]dt이다. 반응속도는 반응진척도를 통해 유도가 가능하다. ξ=nJ−nJ,0νJξ=nJ−nJ,0νJ 따라서 νJdξ=dnJνJdξ=dnJ이므로 반응속도는 v=1Vdξdt=1νjd[J]dtv=1Vdξdt=1νjd[J]dt가 된다. 이는 일정 부피계에서 일어나는 균일 반응에서 성립한다.불균일 반응의 경우 부피 대신 표면적.. Chemistry/Physical Chemistry 2023.10.10
8. 반응속도와 평형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인자 1. 반응물의 물리적 상태 (균일 반응 / 불균일 반응 - 표면적 넓을수록) 2. 반응물의 농도 (분자 많을수록) 3. 반응 온도 4. 촉매(catalyst)의 존재 (충돌의 종류에 영향을 준다. - 메커니즘 변화) 분자 수준에서 반응 속도는 분자들 간의 충돌 빈도에 의존한다. 충돌 빈도가 증가할수록 반응 속도는 높아진다. 그러나 충돌이 반응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결합을 끊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새로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합한 방향으로 충돌해야 한다. 화학 반응 속도(Chemical Reaction Rates)란, 단위 시간 당 반응물 또는 생성물의 농도 변화를 의미한다. (몰농도/sec) (속도는 항상 양의 값으로 표현한다.) 일반적으.. Chemistry/Basic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