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기 반응은 메커니즘이 존재하여 단계적으로 반응한다.
이 과정에서 전자를 공평하게 나누는 균형 반응(라디칼)이 있고
비대칭적으로 전자를 주거나 받는(극성 반응) 2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1. 라디칼 반응
라디칼은 결합하지 않은 여분의 전자가 있기에, 다른 결합을 공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연쇄적으로 다음 라디칼을 형성하고, 전파된다.
이후 라디칼끼리 결합하면 반응이 종결된다.
2. 극성 반응
분자 내부에는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해 극성을 띄게 된다.
이러한 편극에 의해 전자 밀도가 높은 곳은 친핵체(Nucleophile),
전자 밀도가 낮은 곳은 친전자체(Electrophile)이 된다.
이러한 친핵체와 친전자체는 하전된 이온이어도 되고, 중성분자여도 된다.
단, 반응 이후 안정적인 팔전자 규칙을 만족해야 한다.
반응의 과정은 대개 활성화 에너지(ΔG‡)를 가해 전이 상태로 만들고
이후 안정한 상태를 결정해 생성물이 된다.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이 진행하여 생성물이 생기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를 말한다.
다단계 반응의 경우 순간적으로 반응 중간체가 형성되지만 더 반응하여 최종 생성물을 형성한다.
최종 생성물과 초기 반응물의 에너지 준위 차이가 전체 Gibbs 에너지(ΔG\o)이다.
728x90
'Chemistry > Organ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7. 알카인 (2) | 2023.06.06 |
|---|---|
| 6. 알켄 (1) | 2023.06.06 |
| 4. 거울상 이성질체 (0) | 2023.04.23 |
| 3. 고리 구조 (사이클로 알케인) (0) | 2023.04.22 |
| 2. 사슬 구조 (알케인)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