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Math/Linear Algebra

3. 벡터의 차원, 공간 그리고 선형변환

hyuckee 2023. 7. 15. 23:14
반응형

간단하게, 벡터의 합과 스칼라 곱을 가지는 집합을 벡터공간이라 하자.
집합의 개념과 유사하고, 부분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어떤 진부분집합도 동일한 공간을 생성하지 못하는
일차독립인 V의 부분공간 S는
S를 선형결합함으로써 V를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일차독립인 벡터들을 기저라고 부르며
특정 공간 상에서 기저의 수를 차원이라 한다.

행렬이 주어졌을 때
행렬에 존재하는 독립적인 열 혹은 행의 수랭크라고 부르며
이는 해가 될 수 있는 pivot의 수와 동일하다.

n×n 정방행렬의 역행렬이 존재하면 랭크가 n이다.

 

m×n 행렬 A, m×m 가역행렬 P, n×n 가역행렬 Q에 대해
rank(AQ) = rank(PA) = rank(PAQ) = rank(A)가 성립한다.

만약 가역행렬이 아닌 행렬끼리의 곱의 경우
연산된 행렬의 랭크는 어느 한쪽의 행렬의 랭크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된다.
rank(AB) ≤ rank(A), rank(AB) ≤ rank(B)


참고로 가역행렬은
기본적으로 정방행렬이어야 하고,
각각의 행 또는 열을 선형합해서
다른 행 또는 열을 만들 수 없어야 한다.
즉, 그러한 연산 과정에서 영벡터가 생기면 안된다.

영벡터는 다른 벡터와 종속관계이다.

 

영공간(Null space)이란, Ax=0을 만드는 x의 집합을 말한다.
x∈N(A), y∈N(A)이면 ax+by∈N(A)이다.
즉, A(ax+by) = 0이라 할 수 있다.

 N(A)가 영벡터만 갖는 공간이면 A의 행이 서로 독립이고
N(A)가 영벡터가 아닌 다른 벡터를 포함하면
A의 열은 서로 독립이다.


m×n 행렬 A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im(C(AT)) + dim(N(A)) = n
dim(C(A)) + dim(N(AT)) = m

행렬에는 독립적인 기저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무언가에 행렬을 곱하는 행위는
그것을 행렬의 기저로 표현하는 것이다.

n차원 벡터에 m×n행렬을 곱하면 m차원 벡터가 된다.

간단히 비교하면
직교좌표계를 극좌표계 등으로 새롭게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축이 부족하면 값이 사라지기도(차원축소)
축이 더 많아지면 불필요한 축이 생기기도(차원확장)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Ax=b의 비제차 선형계의 경우
pivot의 수가 미지수의 수보다 적은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는 pivot이 아닌 free variable이 생긴다.
즉, 적어도 하나의 영벡터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N(A)에서 free variable에 대한 special solution을,
free variable이 0일 때 Ax=b에서 pivot에 대한 particular solution을
구할 수 있고 이를 선형합하면 완전해(complete solution)가 된다.

즉, n차원에서 m차원으로 선형변환에 대해
dim(R(A)) = n - dim(N(A))이 성립한다.

728x90

'Math > Linear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행렬식  (0) 2023.07.16
5. 직교, 오차 그리고 Tall matrix  (0) 2023.07.16
4. 미지수 개수와 일차방정식 개수  (0) 2023.07.16
2. 미지수 n개, 일차방정식 n개  (0) 2023.07.15
1. 벡터와 행렬 연산  (0) 202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