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대외활동/경제신문 스크랩

[23.09.06] 이차전지 결국 중국이 장악하나

hyuckee 2023. 9. 6. 06:30
반응형

SK넥실리스가 스웨덴 노스볼트, 일본 도요타통상, 독일 바르타에 이어
일본의 인비전AESC와 동박 공급 계약을 맺었다.

동박은 2차전지에서 음극집전체로 사용되며 전자를 모으고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K넥실리스의 동박은 1m 이상의 광폭 동박 시장에서 '가성비'가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한국의 6개 공장 라인을 가동중이고, 앞으로 말레이시아와 폴란드 공장에서도 생산할 예정이다.

특히 SK넥실리스는 폐 구리 와이러를 원재료로 동박을 만들기에
ESG 측면에서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SK넥실리스, 일본기업에 2조 동박 공급
AESC에 2025년부터 10년간 SK넥실리스가 중국계 일본 배터리 기업 엔비전AESC에 총 2조원 규모 동박 납품을 추진한다. 5일 배터리 소재 업계에 따르면 SKC 동박 전문 자회사인 SK넥실리스는 중국계 일본
n.news.naver.com
[단독] SK넥실리스, 해외 배터리社에 2조 동박 공급
SKC의 2차전지용 동박 생산 자회사인 SK넥실리스가 해외 배터리 회사에 10년간 2조원 규모의 동박을 공급한다. 지난해 이 회사 매출(8100억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양극재에 이어 동박 등에서도 한국 2차전
n.news.naver.com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 3사의 점유율이 25% 아래로 하락했다.
CATL을 비롯한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LFP에서는 중국이 압도적이다. 
심지어 중국산은 이미 공급이 수요를 뛰어넘은 상태다.
반면, 한국은 이제야 고성능 LFP를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산 저가 배터리의 물량 공세를 이기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유럽에서는 유럽의 프리미엄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산 저가 자동차와 각격 경쟁이 치열하다.

힘 빠지는 K배터리 … 점유율 25% 아래로
中기업 해외서 가성비 공세 SK온·삼성SDI 나란히 하락 중국 배터리 기업이 유럽과 북미까지 공략을 강화한 영향에 한국 배터리 3사 점유율이 25% 밑으로 추락했다. 한국 3사도 판매량을 전년 동기 대비 끌어올리고
n.news.naver.com
"유럽 내연차 퇴출…중국車만 배불린다"
독일 자동차 제조사 BMW의 최고경영자(CEO)가 유럽연합(EU) 당국의 내연기관차 퇴출 계획에 또다시 일침을 가했다. 유럽의 저가 자동차 브랜드가 중국 경쟁사와의 가격 경쟁에 밀려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우
n.news.naver.com
中 배터리가 남아돈다…"중국산 채웠다간 큰일" 유럽車 경고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올해 중국 기업들의 배터리 생산량이 자국 수요의 두 배를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막대한 정부 보조금을 등에 업은 중국 배터리 업
n.news.naver.com
삼성SDI, 고성능 LFP 배터리 첫선
삼성그룹의 ‘전장 연합군’이 4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3’에 총출동했다. 자율주행 기술을 비롯해 전기차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공격적으로 세를 불리고
n.news.naver.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