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넥실리스가 스웨덴 노스볼트, 일본 도요타통상, 독일 바르타에 이어
일본의 인비전AESC와 동박 공급 계약을 맺었다.
동박은 2차전지에서 음극집전체로 사용되며 전자를 모으고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K넥실리스의 동박은 1m 이상의 광폭 동박 시장에서 '가성비'가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한국의 6개 공장 라인을 가동중이고, 앞으로 말레이시아와 폴란드 공장에서도 생산할 예정이다.
특히 SK넥실리스는 폐 구리 와이러를 원재료로 동박을 만들기에
ESG 측면에서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 3사의 점유율이 25% 아래로 하락했다.
CATL을 비롯한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LFP에서는 중국이 압도적이다.
심지어 중국산은 이미 공급이 수요를 뛰어넘은 상태다.
반면, 한국은 이제야 고성능 LFP를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산 저가 배터리의 물량 공세를 이기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유럽에서는 유럽의 프리미엄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산 저가 자동차와 각격 경쟁이 치열하다.
728x90
'대외활동 > 경제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9.08] 기술 유출일까? 제품 도용일까? (0) | 2023.09.08 |
---|---|
[23.09.07] 원유 감산 연장, 물가 어디까지 오르나 (0) | 2023.09.07 |
[23.09.05]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를 공급한다? (1) | 2023.09.05 |
[23.09.04] 메타버스, 내년에는 터질 것인가 (0) | 2023.09.04 |
[23.09.01] SK온 전고체전지에 한걸음, 스위스 평범해지나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