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 8

[2024.11.21] 이 세상은 중국과 미국

중국이 막대한 투자와 수많은 인력으로 첨단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이에 따라 여러 산업에서 중국산 저가 공세에 국내 기간산업이 흔들리고 있다.중국이 세계의 공장을 넘어 미래 기술 테스트베드가 되고 있다.특히 디스플레이를 넘어 반도체도 중국에게 밀릴 가능성이 크다.파운드리 기준 TSMC에게 삼성이 밀려났지만뒤따라오는 SMIC가 삼성을 추월할 가능성이 있다.게다가 중국은 팹리스 기업도 3000개에 달할 정도로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점차 한국이 상대하기 벅차질 수 있다.최근에는 유럽이 중국에 클린테크 기술이전을 요구했다.중국이 미래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차이나테크 공습… 무너지는 K산단포항·여수·울산·오송 4대 산업단지 현장르포 중국산 저가철강에 잇단 공장 셧다운 …"IMF때보다 심각해"..

[2024.11.20] 포스코도 경영난에 부딪히다

한국은 이공계 인재 부족에 시달리지만, 한편 석박사의 경우 국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가장 큰 문제는 산업에서 필요한 인력과 석박사의 전공이 다른 경우가 많고(미래기술에 대한 투자부족)일치하더라도 연구인력을 그렇게 많이 수용하지 못한다.게다가 대부분의 기업 알앤디는 외국에 비해 확실히 박봉이다.인력이 부족해 창업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있고,특히 인공지능 분야는 물론 의료, 금융,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같은 일을 하더라도 가능하다면 외국이 거의 모든 면에서 이점이 있는데굳이 한국의 기업에서 연구를 진행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이공계 구인난, 저출산보다 심각 … 의사보다 인센티브 더 줘야"최양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인터뷰 이공계학생, 의대 간다고 자..

[2024.11.19] LG엔솔, 이제 로봇에도 배터리 공급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장거리 미사일 포격을 허용했다.북한이 군을 파병하면서 확전이 우려되기 때문이다.사실 이 조치가 전쟁을 수그러들게 할 수 없다.오히려 전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러시아는 부족한 군인을 북한 파병으로 채웠고,우크라이나는 부족한 무기를 채웠을 뿐이다.우선은 단기적으로 전선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그 다음은 트럼프가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美, 러 본토 때릴 미사일 허용… 우크라 확전 기로美, 에이태큼스 제한 풀자… 우크라戰 1000일 '새 국면' 사거리 300㎞ 제한 해제 '北 추가 파병말라' 경고장 러, 우라간 다중로켓 발사 ◆ 러·우크라 확전 ◆ 우크라이나가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n.news.naver.com  北파병에 미사일 '레드라인' 없앤 美 … 러 의회 "3차대전 발걸음"바이든, ..

[2024.11.18] 한국의 내일은 어둡다

트럼프 정권과 북한의 파병 등 국제 정세로 국내 증시가 하락세다.더군다나 한국 증시의 수익률이 떨어지는 탓도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밸류업 프로그램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계속된다.증시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 재무 안정성이 흔들리는 기업이 늘고 있다.유상증자 규모가 점진적으로 줄고 있고, 영구채 발행이 늘고 있다.영구채는 원금 상환 의무가 없지만 이자만 영구히 지급하는 채권이다.따라서 영구채 발행이 늘수록 단기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장기적으로 고금리 이자를 지불하게 되어 부담이 커지게 된다.한편으로 국내 투자자의 경우 미국증시나 비트코인 투자가 늘고 있다.트럼프 트레이드에 편승하는 것이지만, 이를 위해 가계빚이 늘고 있다고 한다.국내 금융시장에서 투자금이 빠져나가면..

사랑? 사람.

전 세계를 덮친 펜데믹 사태, 인권을 위한 시위, 갑작스런 남북관계 악화 등 현대 사회는 매우 혼란스럽다. 이 혼란들 속에는 또 많은 갈등이 있다. 젠더갈등, 빈부격차, 또는 정치적 갈등 등등. 나는 이러한 갈등들의 근원이 인간관계에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삶을 살아가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여러 일들을 겪고 문제를 인지하며 하나둘 풀어나가는 그런 관계. 그럼 인간관계의 그 '관계'가 맺어지기에 무엇이 필요한가? 우선, 서로 만나야 한다. 그리고 상호작용할 정도의 최소한의 호감이 있어야 한다. 그래, 호감. 크게 보면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는 현 사회처럼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의 두 남녀가 겪는 삶과 둘의 관계를 통해 어렵고 추상적인 '사랑', 그리고 나아가 인간관계에 대해 힌트를 던져..

daily record 2024.11.16

[2024.11.15] 뉴노멀, 올바른 길인가

1955~1974년 출생자를 베이비붐 세대, W세대라 부른다.해당 세대는 현재 51~70세로 향후 고령세대의 전반을 차지하게 된다.이미 은퇴한 사람도 있지만, 해당 세대는 손주 돌봄보다 근로를 선택할 정도로 일에 대한 의지가 높다.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Wisdom) 수준이 높고자산(Wealth)을 많이 축적했으며건강관리 등 웰빙(Well-being)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IT 활용 능력도 갖춘 사람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도 자산축적비율과 소비비율이 가장 높은 세대로 예상된다.이에 따라 고령층을 위한 개인 맞춤 서비스가 향후 주류 산업이 될 가능성이 있다. W세대, 정년 있어도 은퇴는 없다베이비부머 90% "정년후 근로 의향" 이르면 내달부터 '65세 이상' 20% 초고령사회 진입 "활력있는 시니어 인력활..

[2024.11.14] 나라는 기울고 있는데 이상하게 조용하다

국내 기업들이 연말이 지나기 전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고 있다.트럼프의 당선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사업 환경에 맞춰 새로운 전략을 실행하기 위함이다.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다.각 계열사를 점검하고, 효율성을 제고하며 조직 슬림화가 진행되고 있다.비주력 사업 매각은 물론, 임원 감축, 희망퇴직 등 칼바람이 불고 있다.다르게 해석하면 신규고용도 대폭 감소하는 것이다.현재 기조는 공채가 아닌 수시채용이며, 수시채용은 본래 목적이 공석을 없애는 것이다.따라서 경력이직은 아직 살아있지만 소수의 인력만이 채용되는 것이다.경기가 이미 침체기에 들어간 현시점에서 앞으로 오랜기간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15일 사장단 인사 재계는 '트럼프 비상사태'비용 줄이고 조직 슬림화 LG그룹..

[2024.11.13] 트럼프 2기와 공약 기반 경제 전망

트럼프의 공약은 값싼 전기 제공, AI 확대, 신재생에너지 감축, 관세로 크게 4가지다.여기서 AI와 관련해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투자는 확대될 것이다.또한 데이터센터와 함께 전력망 구축과 발전소에 대한 투자 또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파리기후협약 탈퇴까지 거론한 트럼프는 ESG를 철회할 수도 있다.반면 한국은 2030년 온실가스감축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설정했고지키지 않으면 실증법에 위반하게 되어 울며 겨자먹기로 어쨌든 이행해야 한다.한편 수출은 높아질 관세로 불이익이 크다.게다가 IRA 보조금 정책까지 사라진다면 오랜기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할 수 있다.관세는 올라가고, ESG로 지출은 늘고, 물가는 오를 것이며, 도산하는 기업도 생길 수 있겠다.이에 따라 경제성장률, 수출증가율 등 여러 전망..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