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조건부확률 2

조건부 확률

A가 일어났을 때 B가 일어날 확률 P(B|A)=P(AB)P(A)=n(AB)n(S)n(A)n(s)=n(AB)n(A) P(Bc|A)=1P(B|A) 즉, A가 일어난 상황으로 표본 공간이 축소된 상태로 해석할 수 있다. 조건부 확률을 쉽게 풀때 이중분할표를 이용할 수 있다. A Ac 계 B n(AB) n(AcB) n(B) Bc n(ABc) n(AcBc) n(Bc)n(A) n(Ac) n(S) 만약 P(B|A)=P(B|Ac)라면 사건 A와 사건 B는 독립이다..

Math/Statistics 2023.07.08

결합 확률, 주변 확률, 조건부 확률

확률변수 X, Y에 대해, X=a고 Y=b가 될 확률은 P(X=a, Y=b)이다. 이렇게 여러 조건을 지정하고 모든 조건이 동시에 성립하는 확률을 결합 확률이라고 부른다. 이와 대비해서 P(X=a)나 P(Y=b) 같은 단독 확률은 주변 확률이라고 부른다. 이들의 목록을 결합분포, 주변분포라 할 수 있다. (주변분포가 지정됐다고 해서 그것으로 결합분포를 결정할 수는 없다) 3차원 확률밀도함수로 생각하면, 주변분포는 그래프를 축에 대한 수직면으로 자른 단면(2차원 확률밀도함수)과 같다. 더 나아가 조건부 분포는 단면 영역에서 y좌표를 지정하는 것과 같다(곡선). 결합 확률과 주변 확률의 관계 P(X=a)=bP(X=a,Y=b) 결합 확률과 주변 확률의 분모는 전..

Math/Statistics 2023.01.25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