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지금, 나는 

Art is anything you can get away with.

반응형

고분자 3

1. 개요

고분자(polymer)란 반복단위를 가지는 거대 분자를 말한다.고분자의 기계적 물성은 chain length, side group, branching, cross-linking에 따라 다르다.linear의 경우 slippage가 가능하고, cross-linked나 network 구조는 기계적 변형에 대해 anchoring effect로 회복가능성을 가진다.녹는점 아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사슬 사이에 free volume이 형성되는 구간이 있다.따라서 온도에 따른 형질 변화에 비교적 자유롭다. Originnatural polymer에는 단백질, 핵산, 다당류, 고무 등이 포함되고합성 고분자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탄성중합체(elastomer)로 구분된다. 반복 단위1종류 단량체로만 이루어진 경우 Homo..

Chemistry/Polymer 2024.12.26

8. 고분자 변형

고분자는 인장 시험에 대해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가장 잘 부서지는 취성 폴리머, 금속 재료의 거동과 유사한 플라스틱, 그리고 완전한 탄성적 거동을 하는 탄성체. 취성 폴리머의 경우 조금만 변형시켜도 바로 인장 강도까지 올라간다. 플라스틱의 경우 항복강도까지 올라갔다 비결정질 부분에서 변형이 일어난다. 이후 점차 네킹이 형성되고 인장강도까지 올라간다. 대부분 분자량이 증가하면 인장 강도도 증가한다. (TS=TSA¯Mn) 높은 온도에서는 점성을, 중간온도에서는 고무질 거동이 함께하는 점탄성을 가진다. 플라스틱은 네킹을 형성하면 밀도와 함께 탄성 계수, 인장 강도가 늘어나고 연성이 감소하기에 일부러 Cold drawing을 한다. 이후 anneal..

7. 고분자

고분자는 열가소성(Thermoplastics) 혹은 열경화성(Thermoset)으로 나뉜다. 열가소성은 고온에서 잘 휘어져 모양을 바꿀 수 있지만, 열경화성은 고온에서 가교를 형성하여 더 단단해진다. 그러므로 열가소성은 재활용 가능하다. 고분자는 기본적으로 탄화수소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탄화수소 유기 화합물이 길게 연결된 것을 고분자라 부른다. 따라서 반복단위의 단량체로 명명한다. 폴리머 반복 단위 폴리머 반복 단위 폴리에틸렌(PE) -CH2-CH2- 폴리(염화비닐)(PVC) -CH2-CHCl- (PTFE) -CF2-CF2- 폴리프로필렌(PP) -CH2-CHCH3- 폴리스티렌(PS) -CH-CH(벤젠)- 아크(PMMA) -CH2-C(CH3)(COOCH3)- 페놀-포름알데히드 (베이크라이트) 생략 (단..

1
728x90